본문 바로가기

교계/교계일반

“사업계획서를 성공하게 만드는 곳, 박람회”

  정부지원사업에 선정되는 사업계획서는 어떻게 다를까?

“심사위원은 책상위 계획이 아닌, 현장에서 다듬어진 진짜 사업이야기를 듣고 싶어한다.” (AI그림_김성천)

  매년 2월, 3월은 정부지원사업 시즌이다. 이맘때면 많은 스타트업으로부터 사업계획서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받는다.  남들보다 빛나는 사업게획서, 심사위원을 설득하고 지원사업에 선정되는 사업계획서는 어떻게 다를까? 

  그 답은 박람회에 있다. 노련한 심사위원은 책상 위 계획이 아닌, 현장에서 다듬어진 ‘진짜’ 사업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한다. 스타트업이 ‘진짜 시장’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가 바로 박람회이다. 

  박람회는 단순히 제품을 보여주는 자리가 아니라 사업계획서를 현실에 시험해 보는 실전 무대이다. 책상 위에서 수개월 동안 만든 서비스가 고객에게 단 30초 만에 외면당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건 실패가 아니다. 빠르게 피드백을 받고,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기회이다. “고객 피드백, 반응이 좋았던 문구, 외면당한 설명, 예상치 못한 관심사, 가격에 대한 반응, 경쟁 제품에 대한 코멘트” 이 모든 것이 사업계획서에 대한 최고의 피드백이며 사업계획서를 빛나게 한다.

  사업을 준비하는 예비 창업자에게는 시장의 다양한 경쟁자를 쉽게 만날 수 있는 기회의 장소이다. 업계의 기술 트렌드를 현직의 관계자로부터 생생하게 들을 수 있으며 A경쟁 기업의 특징, 단점을 B경쟁 기업의 인사이트로 바라보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전시회 참가 후의 사업계획서는 ‘고객 언어로’ 다시 쓰여진다. 박람회를 다녀온 한 초기 스타트업은 “이전엔 ‘모바일 기반 맞춤형 식단 큐레이션 서비스’라고 소개했는데, 지금은 ‘삼시세끼 뭐 먹을지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앱’이라고 말한다”고 한다. 사업계획서를 넘어서는 순간, 진정한 사업이 시작된다. 

  박람회는 단순한 전시가 아니라 더 생생한 이야기, 더 날카로운 질문, 더 명확한 고객을 만나는 곳이다. 스타트업의 계획을 ‘실행 가능한 전략’으로 바꾸는 실전 도장이다. 사업계획만 잘 써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 계획을 ‘현장과 싸우며 바꿀 수 있는 스타트업’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 

  4월에는 박람회로 가자. 

  진정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러 가자.

스타릿지 김성천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