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설가심은신

바울 사도가 갈망한 땅, 로마 지난 6월, 교회사 편찬을 위한 선행작업으로 울산지역 교회사를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울산지역 교회사 안에서 우리 교회 설립의 의미를 찾아보려는 목적이었다. 여러 자료를 참고하며 울산지역 교회사를 요약하는 과정에서 개인적으로 큰 은혜를 받았다. 미국북장로교와 호주빅토리아장로교 선교사들을 통해 부산을 거쳐 울산에 복음의 빛이 스며드는 과정은 한 편의 감동적인 대하 드라마였다. 일신의 안녕을 뒤로하고 전 생애를 복음에 바친 선교사들의 희생에 먹먹했다. 사역 중에 병사(病死)하거나 자녀를 잃은 선교사들은 물론, 천신만고 끝에 선교지에 도착하자마자 폐렴으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선교사도 있었다. 그분들은 하나같이 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 죽어 많은 열매를 맺듯 선교의 큰 밑거름이 돼주었다.  1895년 .. 더보기
따로 또 같이, 스페인 며칠 전 문학 포럼 행사가 있어 서울에 다녀왔다. 서울에 거주하는 작가들에게는 몇 시간의 외출이지만 지방 작가에게는 하루를 고스란히 할애해야 하는 일이다. 다녀올 때마다 물리적 거리에 쏟은 시간은 아깝지 않은데 서울 작가들의 지방 편견에 가끔 회의가 느껴질 때가 있다. 지방에서 작품 활동하려면 제약이 많겠다며 안쓰럽다는 말을 들을 때마다 울산을 변방의 귀양지 정도로 여기는 것 같아 씁쓸해진다.   한번은 포럼에 참석한 유명 작가께서 내게 고향이 어디냐고 물어서 부산이라고 답했더니 그렇다면 해양문학-이를테면 어선의 종류와 운용 방법, 어부의 삶이나 어종 등- 창작에 유리하겠다며 부러워해 깜짝 놀란 적이 있었다. 부산이라고 하면 바다를 먼저 떠올리는 건 이해하겠는데 부산사람은 대부분 배를 타거나 어업에 종사.. 더보기
배려의 땅, 샤모니 나는 가끔 포털 사이트에 뜨는 기사보다 그 기사를 대하는 사람들의 반응 댓글을 더 주목해 볼 때가 있다. 군중의 심리가 고스란히 드러나기 때문이다. ‘분노 사회’라는 용어가 말해주듯 우리 사회는 누군가를 향해 일상처럼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 포털 사이트를 클릭하자마자 우르르, 익명 뒤에 얼굴을 숨긴 분노의 댓글들이 쏟아진다. 때로는 그 댓글들이 상대적 박탈감과 사회적 소외감 때문에 내지르는 ‘소리 없는 아우성’처럼 여겨져 안타까울 때도 있다. 성별과 세대, 계층과 지역, 지지 정당을 따라 각자 느끼는 피해의식이 깊고, 사회적 이슈에 따른 마녀사냥과 책임 전가도 난무한다. 가끔은, 스트레스 해소용 먹잇감을 찾다가 포착되자마자 한꺼번에 달려드는 사바나의 풍경을 보는 듯해 아찔하다.   분노는 인간의 자연스러.. 더보기